미국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안없는 탈핵 주장, 현실적이고 책임감있는 에너지정책 촉구 원자력없는 국내 전력공급은 가능한가. 원자력발전은 국내 전력의 주 공급원으로 40년 동안 안전하게 원전이 운영되면서 값싸고 친환경적인 전력 에너지원으로 자리잡아왔다. 특히 원전은 국가 산업발전과 수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한편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서민의 에너지 복지에 기여해왔다. 하지만 최근 대통령 탄핵승인과 5월 9일 장미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 대선주자들이 잇단 탈핵로드맵을 내세우며 전력정책 방향을 내비치고 있어, 원자력 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원자력학회는 3월 29일 성명을 발표하며 학문적 발전을 추구하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최근 과학적 사실에 기반하지 않고 과장된 위험을 바탕으로 이뤄지고 있는 대안없는 탈핵주장에 우려를 표명했다. 황주호 한국원자력학회장은 “지난 2009.. 더보기 한수원, 원전 안전성증진 심포지엄 HICO에서 개최 경주지진 이후 자연재해와 원전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한국원전의 지진 대비 현황과 안전문화의 중요성, 일본의 사고 이후 원전 가동과 후쿠시마 주민 건강실태 등을 알아볼 수 있는 심포지엄이 열려 주목을 받았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이관섭)은 3월 7일 오후 경주화백센터(HICO)에서 국내외 원자력 관계자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 원전 안전성증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주요 안전이슈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전문가 발표와 토론을 통해 국내외 원전의 안전이슈와 안전성 증진 결과 등을 조명하고 국민의 안심이라는 원자력계 과제와 향후 방향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을 내놓았다. 특별강연에서 장순흥 한동대 총장은 “원자력발전은 전기 에너지원 중 환경영향이 가장 .. 더보기 삼성SDI, 미 캘리포니아에 ESS용 배터리 240MWh 공급 완료 삼성SDI가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세계 최대 규모의 ESS용 배터리를 공급했다. 삼성SDI는 글로벌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 회사들과 손잡고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는 전력 공급망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해 94Ah 셀 약 70만개, 240MWh의 ESS 배터리를 공급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는 업계에서 발주된 ESS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2월24일 미 캘리포니아주 에스콘디도에서 존 자후라닉(John Zahurancik) AES에너지스토리지 사장과 서정환 삼성SDI 미주법인장 상무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AES ESS시설의 오프닝 세레모니가 진행됐다. AES의 ESS 시설은 이번 프로젝트에 삼성SDI가 공급한 물량의 절반 이상인 150MWh의 ESS용 배터리가 설치된 곳으로 삼성S.. 더보기 한전, 중동 최초 풍력사업 진출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2월 13일 요르단 암만에서 ‘요르단 푸제이즈 풍력발전소’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착공식에는 조환익 한전 사장, 이브라힘 사이프(Ibrahim Saif) 요르단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 압델-파타 알리-파야드 엘 다라드카(Abdel-fattahAli-FayyadEl Daradkah) 국영 전력회사(NEPCO) 사장 등 주요인사 150여 명이 참석했다. 푸제이즈 풍력발전사업(89.1MW)은 한전이 단독으로 지분 100% 투자해 수주한 사업이다. 이 사업은 한전이 2018년 10월 준공 이후 20년간 발전소를 운영해 투자수익을 회수하는 BOO(Build Own Operate)방식이며, 향후 20년간 약 5억7,000만달러(한화 약 6,500억원)의 매출이 기대된다. 한전 단독지분 1.. 더보기 전기차 급속 충전방식, '콤보1'로 통일된다 새해에는 전력분야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손꼽히는 전기차 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전기차 급속 충전방식에선 충전구와 커넥터 방식이 통일돼 있지 않았지만, 이를 예고 고시해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전기차의 급속 충전방식이 중장기적으로 통일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유도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 관련 KS 개정(안)을 지난해 12월 29일자로 예고 고시했다. 전기차 충전 관련 KS 개정안은 ▲KSC IEC 61851-1(충전시스템-일반요구사항) ▲KSR IEC 61851-23(충전시스템직류 충전스테이션) ▲KSR IEC 62196-3(치수적합성 및 상호호환성) 등 3종이다. 세계적으로 전기차가 순차적으로 개발되면서 제조사별로 다른 충전 방식을.. 더보기 서부발전, 이란 전력시장 기술수출사업 본격 추진 한국서부발전(사장 정하황)이 협력중소기업과 해외 판로지원 성과공유를 통해 이란 전력시장 기술수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서부발전은 코펙스와 함께 12월 23일 쉐라톤 그랜드 인천호텔에서 이란 국영기업 FAPCO와 기술이전 협정서(MOA)를 체결했다. 이번 협정으로 코펙스는 200만달러의 기술료를 받고 FAPCO사에 제어밸브 기술이전, 엔지니어 교육 등 현지화 생산기술을 이전한다. 아울러 3년간 SKD(Semi Knock Down) & CKD(Completely Knock Down) 방식으로 콘트롤 밸브를 5,000만달러 규모로 공급한다. 이 같은 성과의 배경에는 중소기업 해외 판로지원을 위한 서부발전의 동반성장 프로그램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 12월 6일 서부발전과 코펙스는 ‘해외 판로지원 성과공.. 더보기 중부발전, 미국 볼더시 태양광 1단계 상업운전 개시 한국중부발전(사장 정창길)은 12월 9일 미국 네바다 주에서 추진 중인 볼더시 태양광 발전사업 1단계(100MW)가 상업운전을 개시했다고 최근 밝혔다. 미국태양광 사업은 전체 275MW 규모로, 이번 상업운전은 1단계 사업이다. 2단계(50MW)는 2017년초 준공 예정이고 3단계(125MW)는 현재 개발 중이다. 이번 사업을 위해 중부발전은 2012년 미국 내에 KOMIPO America를 설립했다. 지난해에는 미국 태양광기업 SunPower와 공동개발 협약을 맺고 추진해왔다. 지난해 6월에는 1단계(100MW), 11월에는 2단계(50MW) 전력구매계약을 네바다 전력회사인 NV Energy와 체결했다. 이번 상업운전으로 중부발전은 ▲미국 내 대용량 태양광발전소 개발 ▲건설 및 상업운전 달성이라는 실적.. 더보기 원자력연구원, 방사성 폐수 정화 및 흡착제 제조 기술 카본텍에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김종경)은 2016년 11월 30일 방사성 요오드 함유 폐수 정화기술과 유해가스 제거용 다공성 흡착제 제조기술을 기술보증기금 대구기술융합센터 중개 하에 주식회사 카본텍(대표 차제우)에 이전하는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했다. 정액기술료 3억원에 매출액 1%를 경상기술료로 지급하는 조건이다. 요오드 핵종 함유 방사성 폐수 정화기술은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이승엽 박사팀이 2013년부터 개발한 기술로, 요오드 핵종을 함유하는 방사성 폐수에 대한 ‘생물학적 정화 장치’와 ‘무기광물화 제거 장치’ 등 기술 2건을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등 4개국에 특허 출원해 등록받았다. 이 기술은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혹은 무기적으로 구리를 환원시켜 요오드와 결합시키는 독창적 기술로서, .. 더보기 전동기 협의회 출범, 세계시장 겨냥 구심점 마련 미국, EU를 중심으로 추진돼오던 전동기 고효율 규제의 움직임은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뿐만 아니라 추진일정도 빨라지고 있다. 세계 전력소비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전동기 고효율화는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주목받으면서 산업현장 등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전동기 효율을 높이지 않고는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없다는 인식 때문이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는 11월 17일 전기진흥회관 대회의실에서 전동기 대‧중소 제조업체 및 유관기관 등 30여개 사가 참석한 가운데 ‘전동기 협의회’ 창립총회를 열고 협의회를 정식 발족했다. 이번 협의회 창립은 한국전기연구원의 초고효율 전동력기술 융합클러스터 사업 운영회의에서 산업용 전동기 초고효율화(IE.. 더보기 한수원, 건설원전 형상관리체계 구축 본격화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조석)은 건설원전의 품질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규원전 형상관리체계 구축 착수회의’를 11월 10일 경주본사에서 열었다. 원전 형상관리시스템(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은 2000년대부터 미국, 유럽 등 해외 원전에서 활용되는 기술로써 수십만 개의 중요 설비 및 기기들의 설계정보, 운전 특성 등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로 관리 검증해 원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다. 건설원전 형상관리구축은 한수원 ‘중장기 원전안전성증진 종합마스터플랜 주요 과제’로 선정돼 있으며, 정부3.0 서비스 구현의 일환으로 한국전력기술 등 관련사들과 협력해 개발할 예정이다. 김윤희 한수원 건설기술처장은 “건설단계부터 형상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