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지난해 12월 23일 제7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공동위원장 : 국무총리, 이장무 서울대 명예교수)를 통해 중장기 에너지기술개발방향과 사업화촉진 정책을 포함한 ‘제3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2014~2023년)’을 확정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중장기 기술개발분야는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정책목표와 기술패러다임 변화를 근거로 에너지 공급·수요·혁신의 17개 기술개발프로그램으로 균형있게 구성됐다.
기후변화 대응, R&D 생산성 향상을 정책목표
에너지네트워크 구축 중점
17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청정·안전 중심의 사회친화형 공급기술 ▲에너지 고효율·저탄소 사회 구현을 위한 수요기술 ▲신시장 창출을 위한 선도적 융합혁신기술개발을 지향하고 있다.
청정·안전 중심 사회친화형 공급기술에서는 고효율 청정화력, 차세대 청정연료, 하이브리드 신재생에너지 등을 통해 에너지원의 청정화를 가속화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안전원전, 차세대 송배전 기술개발 등을 추진한다. 수요기술에는 효율향상 기술 간 연결성을 극대화하고 개별주체부터 지역·시장까지 최적화한 친환경 에너지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뒀다. 마지막으로 융합혁신 기술개발에는 ICT기술을 에너지제품기술 전방위로 확산하고 우수 제조역량을 활용해 미래사회에 대응할 계획이다.
특히 산업부는 파급효과가 큰 핵심 기술의 개발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에너지 신시장의 산업화를 앞당기고, 민간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향후 에너지기술 R&D를 공급·수요의 12대 분야 중심으로 투자하고 융합혁신기술을 통해 미래기술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불확실한 미래 상황과 정책변화를 감안해 주기적으로 로드맵과 투자방향을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국가에너지기본계획과 관련한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온실가스감축 등을 위해 추진하는 최상위 기술개발계획으로,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 에너지믹스와 정책방향에서 1차 기본계획과는 차별화돼 새로운 기술개발계획을 조기 수립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1월 이후 산학연관 전문가 300명이 참여했고(2014년 1월~2014년 9월), 공청회(10월 8일), 산업부 전략기획투자협의회(12월 10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12월 16일) 등을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에너지기술 선진국 도약
제3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신산업창출과 혁신생태계 구축으로 에너지기술 선진국 도약 ’이라는 비전으로 산업경쟁력의 강화, 기술혁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R&D 생산성 향상을 정책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지표로는 신재생하이브리드·ESS·에너지 IoT 등 주요분야 세계시장 10% 이상 확보, 국가온실가스 감축계획에 주도적인 기여, 기술사업화율 10%p 제고 등이다.
추진 전략으로는 ▲미래선도를 위한 신 R&D체계 구축 ▲시장창출을 위한 사업화 R&D 강화 ▲생태계 중심의 협력R&D 기반 마련 ▲역량강화를 위한 혁신인프라 구축의 4대 전략을 중심으로 펼칠 계획이다.
먼저 미래선도를 위한 신 R&D체계 구축을 위해 시장-미래-세계를 지향하는 개발체계를 강화해 비즈니스형 R&D, 원천상용화 등 한계돌파형 R&D, 국제공동연구를 확대한다. 공급-수요관리-융합혁신의 3대 구조로 R&D를 추진해 공급기술간 경쟁, 수요관리 상호연계, 융합혁신 기술을 통한 미래대응에 주력하는 한편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개방형 기획을 확대하고 R&D 전주기에 걸쳐 사업화 가능성을 고려한 평가체계를 중점 운영할 계획이다.
개방형 기획을 위해 시장진입전략에 대한 아이디어 경쟁형 기획을 도입하고 타분야 전문가 참여를 확대할 방침이다. 시장창출을 위한 사업화 R&D 강화를 위해 실증 R&D를 확대하고, 조기성과를 위한 패키지형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등 에너지기술에 대한 사업화·진흥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R&D 초기부터 공공보급 사업과 연계를 확대하고, 방산·SOC 등 에너지 적용시장 확대를 위한 범부처 협력을 강화한다. 또 수요관리·에너지 다소비기기 분야의 핵심공통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신산업 부품소재의 국산화율을 제고함으로써 신산업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생태계 중심의 협력 R&D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공공분야 R&D 효율성 강화와 성과의 확산을 위해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지역 맞춤형 프로젝트를 발굴, 추진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부품소재 등에서 중소기업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도록 대중소 역할분담모델을 확산하는 한편 중소·중견 지원비율의 확대를 추진한다.
역량강화를 위한 혁신인프라 구축을 위해 에너지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창의융합인재의 양성을 추진하고 에너지정책방향 및 기업현장수요와 연계한 고급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기업 수요대응, 국민참여형 창의공모, 해외진출 네트워크사업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선진국 기술습득, 개도국 기술수출을 지원하는 전략적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하고, IEA 등 국제기구의 기술 아젠다 선도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산업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S제도, 올해 공급이행률 100% 도전해 볼만 (0) | 2015.02.09 |
---|---|
전기안전공사, 자체감사기구 전북지역협의체 역량결집대회 개최 (0) | 2015.01.30 |
에너지 기술혁신의 목표,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 (0) | 2015.01.21 |
한국지역난방공사, 산학협업으로 지역발전·지속성장 한꺼번에 잡는다 (0) | 2015.01.19 |
산업부, 전기차 상용화시대 기반 구축 앞장 (0) | 201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