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 전력관리와 지속가능한 가정용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해 토론의 장이 마련됐다. 지난해 12월 11일 길정우 새누리당 의원(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은 국회도서관 제1소회의실에서 ‘가정용 전력수요관리를 위한 스마트그리드 정책토론회’를 주최했다. 이날 진행된 토론회에는 한국전력·에너지관리공단·스마트미터 사업자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길정우 의원의 사회로 ▲황우현 한전 스마트그리드사업처장 ▲Nadeem Sheikh Opower(오파워) 아시아퍼시픽 총괄사장의 발제가 있었다. 이어 김종철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진흥과장과 김회철 에너지관리공단 건물수송에너지실 팀장, 김대경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기술기획팀 PD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길정우 의원은 모두발언에서 “우리는 원전을 더 지어야 하는지, 신재생에너지를 활성화 시켜야 하는지의 논의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는 보급 확대를 위해 노력 중이나 환경·기술·비용 등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하고, 원전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으로 인해 원전확대에 대한 국민 수용성이 저하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와 이웃한 일본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국가 간 전력계통 연계를 위한 전력망 분야의 연구개발을 중점 추진 중”이라며 “중국은 중국그리드공사 주도로 대규모 스마트미터 보급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홈 에너지 기술표준 확보 등 과제 해결해야
SG 기반 구축시 전력사용량 등 모니터링 가능
황우현 한전 스마트그리드(SG)사업처장은 발제에서 “제주 동북부 구좌읍 일대에 실증사업을 2009년부터 시작했다”며 “이를 통해 AMI·충전인프라기술·에너지저장기술 등 153종의 기술개발 및 검증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렇게 제주에서 실증한 스마트그리드기술을 바탕으로 한전은 구리남양주지사 사옥에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구축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황우현 처장은 “이곳의 목표는 전력사용량 10%·전력피크 5%를 절감하는 것이었는데 8개월 간 운영한 결과, 전력사용량 12.7%·전력피크 7.7%를 절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전은 이번 시범사업을 토대로 향후 한전 사옥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구축 시범사업을 확대·추진해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성과 활용 및 신사업 모델 구현에 주력할 계획이다.
한편 홈 에너지 운영기술 확보로 태양광·풍력·ESS·스마트가전 등에 기술을 접목해 전국단위 스마트그리드 기반이 구축되면, 집안에 있는 가전제품과 IPTV를 이용해서 전력사용량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황우현 처장은 설명했다. 구현방법은 IPTV에 EMS(에너지관리시스템) 기능을 내장해 신재생원·스마트가전 등을 감시·제어하는 방식이다.
황우현 처장은 앞으로의 스마트그리드 시장에 대해 “스마트홈 연동기술 표준화 등 스마트그리드에 기반한 스마트홈 에너지 기술표준 확보와 스마트가전 보급 확대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고 밝혀 아직 가야할 길이 남아있음을 시사했다.
또 전국단위 AMI 보급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과 함께 미국의 에너지효율성마크 의무화 및 품목 확대 등 스마트그리드 수입장벽에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스마트그리드, 다양한 산업과 연계 필요
김대경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기술기획팀 PD는 “에너지 기술혁신의 궁극적인 목표가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만드는 데 있다”며 말문을 열었다.
김대경 PD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절약해야 하고, 에너지의 사용효율을 높여야 하고, 유한한 자원인 화석연료를 쓰지 않는 새로운 대체에너지를 쓸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에너지절약·효율의 수요관리기술과 대체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받아들이는 데에는 지금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전력계통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 모든 기술들을 제한 없이 받아들이기 위해서 스마트그리드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대경 PD는 이어 21세기 창조산업을 위한 필수 인프라로 전력 신산업·IT 융합 신산업·산업융합 신산업을 꼽았다.
먼저 전력신산업은 수요관리기술이나 발전시스템을 더 효율화하기 위해 주파수 조정 등 새로운 전력의 신산업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IT 융합 신산업은 수많은 데이터를 모아서 소비자에게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든 사물이 인터넷상에서 서로 소통하는 사물인터넷서비스나 클라우드 산업 등 필수 인프라가 모여 스마트그리드가 되고, 스마트그리드가 기반이 돼서 관련 산업들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셋째로, 산업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이 나타나야 한다고 밝혔다.
김대경 PD는 스마트그리드의 효과가 전기자동차 산업·스마트빌딩 등 건설산업·스마트 가전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해서 새로운 산업이 만들어져야 진정한 효과임을 피력했다.
아울러 “이런 것들이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면 어렵다”며 “스마트그리드가 발전하기 위해 어떤 새로운 제도들이 필요한지를 논의하는 시간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에너지산업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안전공사, 자체감사기구 전북지역협의체 역량결집대회 개최 (0) | 2015.01.30 |
---|---|
신산업 창출·혁신생태계 구축 위한 ‘제3차 에너지기술개발’ 전략 확정 (0) | 2015.01.23 |
한국지역난방공사, 산학협업으로 지역발전·지속성장 한꺼번에 잡는다 (0) | 2015.01.19 |
산업부, 전기차 상용화시대 기반 구축 앞장 (0) | 2015.01.18 |
2014 전기자동차 충전사업 세미나, "언제 어디에나 존재하는 전기차 시대 마련 초점 (0) | 201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