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부처 소식

2014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발전부문 크게 기여

2014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보다 약 590만톤 감소한 6억9,060만톤CO₂eq.(이산화탄소 환산기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8년 외환위기를 제외하고는 처음으로 감소한 수치다.

특히 에너지 연소 내 발전부문 배출량이 2013년 대비 1,300만톤 감소한 2억3,660만톤으로 집계돼 국가 총 배출량 감소의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발전부문 배출량이 감소한 이유는 2012년 고장으로 발전량이 감소했던 원전발전량이 회복됨에 따라 원자력·집단에너지 발전이 증가하고 화력발전량은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국무조정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김용건)는 11월 24일 센터 대회의실에서 ‘2016년 제2차 국가 온실가스 통계 관리위원회’(위원장 노형욱 국무조정실 제2차장)를 개최했다. 이어 2014년도 국가 온실가스 통계를 확정했다.

국가 온실가스 통계 관리위원회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 및 국가 온실가스 배출·흡수계수 확정 등을 위한 최종 의사결정 기구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014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는 발전원 구성 변화에 주로 기인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배출량 감소가 계속 유지될지는 더 살펴봐야 한다”며 “다만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 2014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 발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 첫 감소 

원전 재가동으로 발전량 증가… 온실가스 감축 유발
원자력 발전은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발전원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2013년 가동 정지된 원전(신고리 1·2호기 등)이 2014년 재가동돼 발전량이 2013년 대비 12.7% 증가(1만7,623GWh)했다. 이어 온실가스 감축을 유발했다.

집단에너지 발전도 석탄화력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발전원이다. 2014년 공급지역이 확대돼 발전량이 37.8% 증가(9,231GWh)하면서 온실가스 감축에 간접적으로 이바지했다.

반면 화력발전은 원자력·집단에너지 증가로 인해 2013년 대비 6.9% 감소(2만3,863GWh)했다. 석유·액화천연가스(LNG) 화력발전량의 경우 2013년 대비 58% 감소해 온실가스 감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4년 산업공정에서 배출된 온실가스 양은 5,460만톤이며 2013년 대비 260만톤(5.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시멘트 클링커 및 석회 생산에 따른 배출량 2,770만톤(30만톤↑)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가스(SF6, CF4) 소비에 따른 배출량 970만톤(90만톤↑) ▲냉매(HFC-152a 등) 사용에 따른 배출량 810만톤(40만톤↑) ▲석회석 소비에 따른 배출량 530만톤(80만톤↑) 등으로 산정됐다. 

GDP 3.3% 증가·온실가스 배출량 0.8% 감소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은 온실가스 감축제도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GDP 증가율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2014년에는 GDP가 3.3% 증가한 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0.8% 감소했다.

2014년 GDP당 배출량은 전년대비 4.1% 감소한 484톤CO₂eq./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농업·폐기물 분야 배출량이 각각 약 60만톤CO₂eq.·약 50만톤CO₂eq. 감소했다. 산업공정 분야는 철강제품 생산 증가로 약 260만톤CO₂eq.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관계자는 2014년 배출량이 감소한 이유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 기여도가 높은 석탄화력발전 비중 감소, 가축 사육두수 및 폐기물 소각량 감소, 정부 온실가스 감축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 통계를 작성하고 분석하는 국무조정실 소속의 정부기관이다. 매년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분석해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개별 사업장들의 배출량과 배출권거래량을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정보관리시스템을 운영해 배출권거래제 핵심기능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