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력망

산업부,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발전 전력망 접속보장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앞으로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발전사업자가 전력계통 접속요청시 한전 부담으로 변전소 변압기 등 공용전력망을 보강해 망접속을 보장할 계획이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한전 규정)’ 개정안은 지난 9월 23일 전기위원회 심의를 완료했다. 이후 약 1개월의 준비기간을 거쳐 10월 31일부터 시행된다. 이는 7월 5일 발표한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의 일환인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발전에 대한 무제한 망접속 정책의 후속조치다. 그동안 소규모 신재생발전사업자는 전력망 접속용량 부족으로 인해 사업추진시 애로사항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번 소규모 신재생발전 전력망 접속보장 조치는 발전수요가 많은 영·호남지역 신재생 사업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 더보기
ESS 만난 태양광, REC 가중치 5.0 받는다 정부가 ESS 활성화를 위해 풍력에 이어 태양광 카드를 꺼내들었다. 태양광에 ESS를 연계할 경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5.0 주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부터 ESS를 연계한 풍력설비에 상대적으로 높은 REC 가중치를 부여하던 정책을 태양광에도 적용하기로 하고, ESS를 설치해 전기를 공급한 태양광설비에 REC 가중치 5.0을 주기로 RPS제도 관리·운영지침을 개정하고 9월 19일 고시했다. 개정된 내용에 따르면 태양광설비에 ESS를 연계할 경우 적용되는 가중치 5.0은 일단 2017년까지만 유효하다. 이후에는 ESS 보급여건 등을 점검해 가중치를 조정한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업계는 풍력과의 형평성 문제를 염두에 두고 가중치 적용 기간을 최소화한 것으로 보고 .. 더보기
박두재 한국전력 충북지역본부장, “SF6 재활용 사업으로 국가차원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할 것” “지금까지 전력산업이 정전예방 등 안정적인 전력공급업무에 중점을 두고 추진됐다면 앞으로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새로운 業의 창출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신산업을 만들어가야 한다” 한국전력 서인천지사장, 충북지역본부 서청주지사장 등을 거쳐 2015년 말 충북지역본부장에 부임한 박두재 본부장은 최근 전세계적인 문제로 부상한 이상기온과 지구온난화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도 그럴 것이 한전 충북지역본부에서는 지구온난화 유발계수가 가장 높은 SF6가스를 회수·정제·재활용하는 사업을 의욕적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두재 본부장은 “전국에 있는 배전개폐기에 절연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SF6가스를 회수해 정제를 통해 순도를 높이고 이를 다시 대용량의 변전개폐기 등에 재활용하는 프로세스”라며 사.. 더보기
한전, 공군본부와 ‘지능형전력망’ 구축사업 합의서 체결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과 정경두 공군참모총장 대장은 2월 24일 충남 계룡시 소재 계룡대 공군본부에서 ‘공군 지능형전력망 구축사업’ 수행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했다. 최근 북한 미사일 발사를 비롯해 급변하는 한반도 상황과 전 세계적인 사이버 테러발생 등으로 국가안보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방위의 핵심인 공군 비행장의 안정적 전력공급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전의 공군 지능형전력망 구축사업은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비상시에도 군 비행장에 독립적으로 전력공급이 가능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국가 중요시설인 전국 공군 비행장에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2016년부터 2024년까지 3단계로 순차적 구축사업 진행 공익형 비즈니스 모델 개발 통한 에너지신산업 해외 수출.. 더보기
LS산전, SVC 시스템 구축 통해 전력전자기반 송전기술 ‘풀 라인 업’ LS산전이 전기 송·배전 시 손실되는 무효전력을 보충해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하는 SVC(무효전력보상장치, Static Var Compensator)를 개발, 국내 기업 최초로 실계통에 적용한다. LS산전은 8월 21일 LS-Nikko동제련 온산공장 154kV 변전소에 ±100MVar(Volt-Ampere Reactive, 무효전력 단위) 규모의 SVC 구축을 마무리 하고 ‘스마트 SVC 센터’ 준공식을 가졌다. SVC는 전력 송·배전 시 손실되는 무효전력을 보충해 전력운송의 안정성을 높이는 설비로, 전력회사·철강회사는 물론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급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해주는 유연전송시스템(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의 핵.. 더보기
한전, MG기술 북미시장 1,500만불 수출 쾌거 한전(사장 조환익)은 7월 13일 한전 본사에서 캐나다 PowerStream社와 캐나다 관할지역에 마이크로그리드 공동구축 및 SCADA시스템(배전전력망 집중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교체사업 우선협상권 부여 등에 관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전은 이번 PowerStream社과의 MOA 체결을 통해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관리시스템)기반의 MG기술 개발이후 최초로 해외시장에 1,500만불 상당의 기술 수출의 쾌거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MG란 일정지역 내에서 풍력,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원과 ESS 등을 EMS으로 제어해 외부의 전력망에 연결해 운전하거나 독립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소규모 전력망(수백kW~수십MW 정도)을 말한다. PowerStream社.. 더보기
한전, KT와 ‘빛가람 에너지 ICT 융합센터’ 공동 설립 한국전력(사장 조환익)과 KT(회장 황창규)는 3월 25일 전남 나주에 ‘빛가람 에너지 ICT 융합센터’를 공동으로 설립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착수한다. ‘빛가람 에너지 ICT 융합센터’ 설립은 2014년 12월 양사 CEO가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 상호협력 MOU 체결이후 추진된 후속 조치로 향후 양사간의 효율적인 상호협력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한전과 KT는 2014년 12월 MOU 체결시 그동안 협력해온 AMI, 전기차, R&D 분야뿐만 아니라, 전력-ICT 융합 신사업 모델개발과 벤처육성 등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에도 협력분야를 확대하기로 했다. 양사는 이번 융합센터 설립을 통해 에너지밸리 구축 공동협력 및 전력-ICT 융합 신사업 모델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함으로써, 빛가람 혁신도시가 스마.. 더보기
전력거래소, ‘2015년 한·일 전력계통 심포지엄’ 성료 한·일 양국 전력계통 전문가들이 모여 최근 양국의 전력산업 현안에 관해 심도 있는 토론을 펼쳤다. 전력거래소(이사장 유상희)는 3월 16, 17일 양일간 대전 전력연구원에서 한국과 일본의 전력계통 산학연 관계자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5년 한·일 전력계통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한·일 전력산업의 현안 및 전망이란 주제로 열린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전력거래소를 비롯한 전력연구원, 전기위원회, 서울대, 고려대 등의 한국 측 관계자와 산학연 관련업체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일본 측 관계자들이 모여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일본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는 요코하마 와세다대학 교수는 기조연설을 통해 후쿠시마 사태 이후 안정적인 전력공급 위주로 전력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뀐 일본의 전력산업 현황.. 더보기
한 가닥 전선 아닌 새로운 희망 ‘초전도케이블’ ‘꿈의 케이블’로 불리는 초전도케이블 상용화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초전도케이블의 실제 계통 적용으로 우리 전력산업이 변화될 모습을 상상하니 저절로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지난해 10월말 한전은 제주에서 세계 최초로 직류(DC) 80kV 초전도케이블을 실제 계통에 적용하는데 성공하며, 자축의 의미로 조그마한 준공식을 가진 바 있다. 이번 성과를 계기로 초전도 전력설비(초전도케이블·냉각설비 등) 기술개발 분야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로부터 석 달이 채 지나지 않은 최근 초전도케이블의 실 계통 운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는 소식을 전해왔다. 나도 모르게 박수를 치며 환호했다. 실로 대단한 성과다. 아울러 오는 10월까지 교류(AC) 154kV 초전도케이블의 실 계통 적용도 실증에 들어간다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