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산업계

EV 배터리리스 본격화 “청정 제주를 달린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5월 27일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 대강당에서 전기차 배터리리스 사업 출범식과 성공지원을 위한 협약식을 갖고 민간시장에 의한 전기차 보급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운송업체가 배터리를 뺀 가격을 지불해 초기비용을 낮추고, 매월 연료비절감분으로 배터리 가격을 분할 납부하는 모델이다. 운행거리가 긴 버스·택시·렌터카 업체는 전기차의 연료비절감 효과가 커서 배터리 임대료를 납부해도 이익이 생긴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으로 향후 3년동안 제주도내에 공공운수서비스사업용 전기버스 119대와 전기택시·렌터카 1,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3년간 제주도에 전기버스 119대 보급
전기택시·렌터카 1,000대 보급 추진 

제주, EV 배터리리스 출범 및 협약식 가져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에서 열린 ‘전기차 배터리리스 출범 및 협약식’에는 정양호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권영수 제주도 행정부지사, 김인택 에너지관리공단 이사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열렸다.

제주도 내 배터리사업 출범·협약식과 배터리리스 SPC 개소식, 전문가 토론회가 함께 열린 이번 사업은 지난해 7월에 열린 기후변화 위기대응 ‘에너지 신산업 창출방안’과 4월에 범부처가 공동으로 마련한 3년간의 에너지신산업육성 계획인 ‘에너지신산업활성화 및 핵심기술개발 전략’의 성과다.

행사장에 참석한 정양호 실장은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수준의 자동차, 정보통신 및 배터리 생산기술을 가지고 있어 세계 전기차산업의 선두 국가로 우뚝 설 수 있다”면서, “이번 사업이 제주도를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나아가서는 성공모델이 해외에도 수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대행사로 사업착수를 알리는 비긴스제주의 현판식을 가졌으며, 이어 전기차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토론회를 열었다.

배터리를 제외하고 전기차를 구입해 배터리리스를 통해 초기 구매부담을 줄임으로써 전기차 보급 촉진을 위한 이번 사업은 2015년까지 버스 49대와 택시 290대, 렌터카 227대 등 총 566대를 보급할 계획이며, 2016~2017년까지 버스 70대, 택시 260대와 렌터카 223대 등 총 553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총 사업규모만도 총 724억원이다.

민간사업자 중심 EV 배터리리스 사업 원년 기대

올해 사업자 모집 공고를 통해 비긴스제주를 사업자로 최종 선정했으며, LS산전·삼성테크윈 및 자일대우버스와 같은 전문기업과 협력해 성공적인 사업추진체계를 갖췄다.

비긴스제주는 올해 9월경까지 충전시설 및 통합관제센터 등 운영인프라를 준비한 후에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다.

비긴스 90%와 코리아카본 매니지먼트 10%의 지분율로 구성된 비긴스제주는 전기버스 배터리 교체 시스템 기술특허 기반 제주도 내 전기버스 및 전기택시·렌터카 보급을 위한 서비스 운영사다.

제주 전역 배터리 자동교체시스템 스테이션 및 제주도 내 통합관리센터, 전기차 전문 정비센터 등 인프라 구축을 담당한다. 또 한전SPC에 참여하는 비긴스의 충전인프라 서비스 제공 사업과 연계해 제주도 내 전기차량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게 될 예정이다.

비긴스는 포항시 배터리 자동교체 시스템 스테이션 2기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전기버스 도입의 국내외 경쟁력을 보유한 업체다. 무인 자동화 방식을 적용해 미리 충전해둔 배터리로 신속하게 전기버스 운행에 필요한 배터리를 교체하는 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 일체형 전기버스와 달리 단절없는 운영을 통한 운휴손실 최소화 및 노선거리에 제약이 없다. 전기버스 시스템 관련 특허만도 102건을 보유한 대표적인 전기차 배터리 자동교체 시스템 전문업체다.

전기차 배터리리스 사업 출범식에 이어 개최된 토론회는 박경린 제주대 교수의 진행으로 각 분야 전문가과 함께 국내 전기차의 현주소를 되짚어보고 앞으로의 전기차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한편, 포항시도 전기버스 배터리리스 민간사업자를 공모 중이며, 서울시도 이동형 충전사업자와 손잡고 모바일 충전기를 보급하는 등 전국적으로 확산 붐이 일고 있어 올해가 민간중심의 전기차 보급 원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으로 정부는 재정부담을 줄이고, 소비자는 배터리관리 부담과 전기차의 중고차가치 불안감를 해소하는 한편, 사업자는 폐배터리 재활용, 온실가스배출거래 및 수요반응(DR)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해 최적화한 사업모델을 완성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