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력전기 관련기업

두산중공업, 베트남 발전시장 연속 진출 ‘쾌거’

두산중공업이 베트남에서 지난해 연말에 이어 또 한 차례 1조원이 넘는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아시아 발전시장을 리딩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두산중공업(대표이사 부회장 박지원)은 4월 10일 베트남 현지에서 1조원 규모의 1,200MW급(600MW×2) ‘송하우(Song Hau) 1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고 4월 13일 밝혔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된 계약 체결식에는 베트남 정부 황충하이 부수상을 비롯해 발주처인 베트남 석유공사(PVN)의 응우엔 꾸억 칸 사장, 국영기업 릴라마(Lilama)의 르 반 뚜언 사장,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송하우 1 석탄화력발전소는 호치민에서 남서쪽으로 200km 떨어진 하우장 지역에 건설되며, 베트남 남부 지역의 전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중공업은 보일러·터빈을 비롯한 주기기와 보조기기 등 발전설비 부문을 일괄도급(EPC) 방식으로 공급해, 2019년 10월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김헌탁 두산중공업 EPC BG장은 “2009년부터 베트남 쭝꾸엇 지역에 대규모 생산공장인 두산비나를 세우고 현지 투자와 사회공헌 활동 등 현지화 노력을 지속한 결과가 결실을 맺고 있다”며 “이번 수주를 통해 2020년까지 약 30GW 규모의 베트남 발전시장뿐만 아니라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시장에서도 더욱 확고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두산중공업은 2010년 이후 베트남에서만 총 5건의 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한 바 있다.

▲2010년 1조4,000억원 규모의 ‘몽중 2 화력발전소’를 시작으로 ▲2013년 1조6,000억원의 ‘빈탄 4 화력발전소’ ▲2014년 12월 1조8,000억원의 ‘응이손 2 화력발전소’ 등 5년 동안 수주 규모가 6조원에 달한다.
 
우 LNG 복합발전소·LNG 물류터미널 건설과 이에 필요한 부지 매입을 위한 금융자금을 조달하게 된다.

한편 SMP(계통한계가격) 하락으로 전력판매 이익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LNG 복합설비가 전체 설비의 약 54%를 차지하는 남부발전이 추가로 LNG복합발전을 건설할 지는 지켜 볼 일이다. 지난해 타 발전사보다 취약한 재무환경을 보였기 때문이다.

지난 3월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발표된 남부발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남부발전은 지난해 약 6조2,436억원으로 화력발전5사 중 가장 높은 매출액을 달성했지만, 영업이익은 약 1,383억원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올해도 전력예비율이 두 자리 수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SMP 또한 더욱 떨어질 것으로 보여 기저발전에 밀려 발전 기회마저 없는 LNG복합발전의 수익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남부발전은 수익률 하락을 우선 걱정해야 할 처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