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전의 누적 발전량이 3조kWh를 달성했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조석)은 1978년 고리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후 37년여 만에 국내 원전에서 생산한 전력량이 3조kWh를 달성했다고 4월 20일 밝혔다. 3조kWh는 우리나라 전체가 6년 이상, 서울시는 무려 65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며, KTX로 서울과 부산을 약 1억1,500만번 왕복할 수 있는 전력양이다. 또 국내 전력사용량 1위인 현대제철 당진공장이 545년 동안이나 가동할 수 있는 양이다.
'78년 고리1호기 상업운전 37년여 만에 달성
안정적 전력공급으로 국가 경제발전 버팀목 역할
원전발전량 3조kWh 전량을 화력발전으로 대체해 생산할 경우 원전 대비 445조원이 추가로 소요되며, 이는 2014년 국내 총 GDP의 23% 수준이다. 또 원전발전량 3조kWh 전량을 일시에 화력발전으로 대체해 생산할 경우 화력발전 전원비중을 고려한 화석연료 수입비용은 약 219조원이 소요되며, 2014년 국내 총 GDP의 11% 수준이다.
원자력발전은 저렴한 발전원가로 산업경쟁력 향상에 기여해왔다. 실제로 1982년 이후 소비자물가가 271% 상승하는 동안 국내 전력요금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8% 수준인 49% 상승에 그친 것은 저렴한 에너지원인 원전의 역할이 크다.
또 원전 누적발전량 3조kWh는 2011년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 6억톤의 3.3배에 달하는 20억톤의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한 효과를 가져온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가격을 적용하면 약 20조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셈이다.
국내 온실가스 누적배출량은 2011년 약 7억톤으로 세계 8위에 해당한다. 특히 화석연료 연소기준으로는 약 5.9억톤으로 세계 7위다. 현재 정부가 정한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원자력 및 신재생발전의 확대, 전력소비 절감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09.11)에서 2020년 발전·전환부문 온실가스 총배출 목표치는 1.87억톤이다. 하지만 발전·전환부문의 201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41억톤으로 이미 2020년 목표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신재생은 자원의 한계성과 고비용 전원이라는 점에서 무한히 확대할 수 없고 에너지 절약 또한 한계가 있어,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해서는 원전비중 확대 이외의 현실적 대안이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원전현장 안전·상생문화 정착 필요
특히 원전은 대기오염물질 배출 억체로 깨끗한 공기 질 유지에 기여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원전발전량을 석탄과 LNG로 대체하는 경우, 화력발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이산화황·질산화물·분진 등의 대기오염 물질은 장거리로 퍼져 환경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특히, 석탄화력발전은 최근 심각한 건강 피해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초미세먼지의 주요 구성 성분인 질소산화물(NOx), 이산화황(SO2) 및 매연과 먼지, 인체에 유해한 수은과 비소도 다량 배출한다.
WHO에서 공개한 2011년 91개 국가 1,100개 도시의 대기질을 비교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만 명 이상의 도시 거주자들이 지속적으로 높은 수치의 초미세먼지에 노출되고 있으며그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석탄화력발전이라고 밝혔다.
조석 한수원 사장은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에서 원전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데 크게 기여했다”며, “앞으로도 안전하고 깨끗한 원전 운영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는 23기의 원전이 운영되며, 설비용량 20,716MW로 설비용량 기준 세계 5위 원전 보유국에 해당한다. 한수원은 앞으로도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의 버팀목 역할을 수행하고, 에너지신산업 등의 발전에도 기여해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일부 공사·용역의 계약상 포괄적으로 명시된 역무를 세분화·구체화해 자의적 해석에 의한 업무영역 갈등이나 업무회피 소지를 없애는 한편, 방사선관리용역의 경우, 인원 부족으로 2014년 한수원-협력업체 간 업무용 ID 공유 논란을 일으켰던 한수원 보건물리원의 단계적 증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원전현장에서 갈등과 사고가 지속될 경우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회복은 요원할 수 있는 만큼, 지금은 원전현장에 안전·상생문화 정착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금번 일회성 점검활동으로 현장의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어려운 만큼 향후에도 산업부는 원전 공기업과 함께 현장점검 및 개선 활동을 상시적으로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중장기 개선사항으로 향후 원전 용역·공사 전반의 제도적인 측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며, 제도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민간전문가 중심으로 제도개선반을 구성·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원자력산업계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대전교육청·경주시·국립중앙과학관·경주교육지원청과 미래 인재육성 MOU체결 (0) | 2015.04.29 |
---|---|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 토론회, 선진국 사례를 중심으로 관리방안 모색 (0) | 2015.04.29 |
한전원자력연료, 지르코늄 피복관 공장 논산에 건설 (0) | 2015.04.23 |
원자력환경공단, 건양대학교와 상호협력 MOU 체결 (0) | 2015.04.23 |
원자력연구원, 아시아원자력교육훈련네트워크 기술회의 개최 (0) | 201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