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김은경)가 강원도(도지사 최문순)와 함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참가자 건강을 위해 협력한다.
환경부는 12월 12일 올림픽 개최기간 중 수도권에서 시행하고 있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강원도에도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오늘 00시부터 16시까지 미세먼지 평균농도가 나쁨(50㎍/m³ 초과)이고 내일도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50㎍/m³ 초과)으로 예보될 때 환경부와 강원도는 협의해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영동과 영서 지역으로 구분·발령한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면 올림픽 개최지인 강릉·평창·정선에 소재한 337곳의 행정·공공기관은 홀수 날에 홀수 차량만 운행하는 차량 2부제를 실시한다. 또한 강원도 내 공공기관이 운영하고 있는 51개 대기배출사업장과 건설공사장은 단축 운영된다.
발령절차는 17시 10분에 다음날 발령 여부를 결정한다. 환경부와 강원도는 17시 15분에 공공기관 정·부 담당자에게 문자 등으로 발령사실을 전파한다. 강원도는 보도자료, 홈페이지, 전광판, 문자 등으로 강원도 주민들에게도 발령 사실을 알릴 예정이다.
이번 비상저감조치와 별도로 한국남동발전 영동화력 2호기는 올해 1~6월까지 가동을 중단한다. 환경부는 미세먼지 배출량 114.7톤이 저감될 것으로 예상했다. 영동화력 1호기는 지난해 7월 폐지됐다.
비상저감조치 시행 당일에는 공공기관 정·부 담당자가 비상연락망을 가동하고 비상저감조치 이행을 자체적으로 점검한다. 강원도, 강원교육청, 원주지방환경청, 개최도시 시·군청과 교육지원청에서는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전체적인 이행상황을 점검한다.
강원도는 평창올림픽이 끝난 후 10일 이내에 참여기관의 자체 점검결과를 취합한다. 이를 토대로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20일 이내에 평가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강원도는 비상저감조치 시행에 앞서 지난해 12월 5일까지 차량 2부제 참여기관의 연락망 구축과 사업장·공사장 관리카드 작성을 완료했다.
강원도 지역은 평창올림픽 기간 동안 중국의 고농도 미세먼지가 서풍을 타고 유입할 가능성이 있다. 환경부와 강원도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철저한 비상저감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정부부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부, 제3차 에너지공기업 R&D 협의회 개최 (0) | 2018.02.22 |
---|---|
산업부,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본격 이행 (0) | 2018.02.19 |
2015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전년대비 0.2% 증가 (0) | 2018.02.09 |
환경부, 유휴공간 활용해 주민참여형 태양광 확산 (0) | 2018.02.09 |
폐광지역, 태양광 산업으로 석탄 대체 수익 창출한다 (0) | 201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