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력 발전산업

1GW 넘긴 풍력, 성장 속도내나

우리나라 풍력설비 누적 설치용량이 1GW를 넘어섰다. 지난해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력계통에 연결된 풍력설비는 총 1,023MW다. 77개 풍력단지에 걸쳐 529기의 풍력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이 가운데 35MW가 해상풍력단지다.

1998년 2월 우리나라 최초의 대형 풍력단지 프로젝트로 추진된 제주 행원풍력단지에 600kW급 풍력시스템 2기가 설치된 이후 18년 만에 거둔 성적표다. 2015년 224MW에 이어 2016년도 190MW가 새로 설치돼 최근 상승세는 좋은 편이다.

현재 건설 중인 풍력단지를 비롯해 최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대책 영향으로 2017년 신규 설비용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풍력 1GW 원년… 정부정책 기대감 솔솔
국산 풍력설비 확대 미지수… 풍요 속 빈곤

정암·태백2 등 이미 건설 중
총 62.7MW 규모로 건설되는 천사풍력은 지난해 1단계 24MW 준공에 이어 올해 4월 2단계 18MW, 2018년 3단계 20.7MW로 개발될 예정이다.

유니슨과 남부발전, 동성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정암풍력은 2016년 상반기 준공 예정이다. 유니슨의 저풍속용 모델인 2.3MW 풍력시스템 14기를 설치해 32.2MW 규모로 건설된다. 강원도 지역에 들어선 풍력단지 가운데 세 번째로 큰 규모다.

국산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남부발전은 19.8MW 규모의 태백2풍력을 내년 중으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최근 고시된 생태자연도 개정안이 어떻게 적용되느냐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삼척 육백산풍력(30MW)과 강릉 안인풍력(60MW) 개발사업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가시리풍력(30MW)을 시작으로 풍력사업에 본격 뛰어든 SK D&D는 경북 울진 현종산 일원에 61.2MW 규모의 풍력단지를 건설한다. 최근 기초 토목공사에 착수해 2018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하고 있다. 설치 예정인 지멘스 3.6MW 풍력시스템의 국내인증 절차가 빠르게 진행될 경우 준공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

동서발전과 코오롱글로벌, 동국S&C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주2풍력은 올해 하반기 준공될 예정이다. 유니슨의 2.3MW 풍력시스템 9기가 설치된다.

풍력개발 허가지역 주소지 오류로 사업허가를 다시 받고 있는 서부발전은 20MW 규모의 장흥풍력을 추진 중이다. 지역주민 의견수렴 절차가 마무리되면 2017년 하반기 준공도 가능한 상황이다.

해상풍력의 경우 내년 전력계통에 연결되는 프로젝트는 없을 전망이다.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60MW)가 예정대로 내년 3월 착공되더라도 여건상 2018년 하반기나 돼야 시운전이 가능하다. 대정해상풍력·새만금해상풍력은 올해 착공도 불투명한 상태다.

    
  ▲ 2016년 신규 건설 풍력발전단지  

국산 풍력설비 확대 미지수… 풍요 속 빈곤 우려
풍력·태양광 발전비중을 2025년 72%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한 정부 방침에 따라 신규 풍력설비 확대 전망은 그 어느 때보다 밝다. 이번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선 앞으로 매년 3GW 이상의 풍력·태양광이 늘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SMP+REC 고정가격계약제도를 비롯해 주민참여형 사업 인센티브 제공, 해상풍력 REC 가중치 현실화 등 기업들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여러 장치들이 마련돼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풍력산업의 핵심인 풍력시스템이 대부분 해외기업 제품으로 채워질 경우 목표에 가까운 성과를 내더라도 국내 풍력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겉으로는 풍력산업 활성화에 성공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사실상 국내 풍력기업이 쪼그라들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타워·베어링·단조품 등 일부 부품만이 수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을 뿐이다.

국내 풍력시장에는 세계무대에서 점유율 상위에 오른 풍력시스템 제작사들이 대부분 진출해 있다. 과거 베스타스가 싹쓸이한 국내 시장을 점차 우리나라 기업들이 대체하고 있지만 최근 여러 외국기업들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면서 수주 경쟁은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다.

풍력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이번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대책을 보면 풍력과 태양광설비를 늘리는 데만 신경을 썼을 뿐 국내 제조업체들이 생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은 빠져 있다”며 “전체 풍력산업에서 풍력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이들 기업들이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풍력설비 보급이 활발히 이뤄진 국가들을 보면 자국 기업들을 키워 목표에 접근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욱 확대될 풍력단지 개발사업에 국내 제조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