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력산업계 소식

온실가스 감축 해법 ‘LNG발전’ 주목

온실가스 감축이 최대 국정 현안 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LNG발전 비중을 줄이기보다는 적정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국가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투입하는 비용보다 LNG발전 가동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효과가 경제적으로 더 이득이라는 이유에서다. 2월 27일 김욱 부산대 교수는 민간발전협회가 진행한 ‘전력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복합화력 활성화 방안’ 용역을 발표한 자리에서 LNG발전을 축소하려는 최근의 정부 정책에 큰 우려를 표시했다. 김욱 교수는 “온실가스 제약을 고려하면 2020년 이후에는 오히려 LNG복합의 설비용량이 부족해 신규로 건설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며 “지금은 첨두부하발전의 낮은 이용률을 ‘비난’하는 정책이 아니라 ‘보호’하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욱 부산대 교수, LNG발전 적정비중 유지 주장
배출권거래제 시행 따라 가스발전 환경적 가치 높아져

수요예측 실패가 LNG발전 볼륨 키워

현재 국내에 가동되고 있는 LNG발전은 30GW 수준이다. 전체 발전설비의 32%를 차지할 만큼 발전원 가운데 가장 많은 설비용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LNG발전 볼륨이 커진 이유는 전력당국이 수요예측에 실패하면서 전력수급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LNG발전 건설을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게 김욱 교수의 주장이다.

김 교수는 “현재 발전설비가 전혀 없는 상태라 가정하고 건설비와 연료비만으 로 최적의 발전설비 포트폴리오를 수립해 보면 원전 60%, 석탄 30%, LNG 10%의 결과가 도출됐다”며 “발전비용이 가정 저렴한 원전 비중이 단연 높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WASP-IV 모형을 이용한 전원믹스의 최적화 결과에서도 LNG발전 가동을 중지하고 석탄발전으로 대체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이라는 결과가 나왔다”며 “두 가지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히 비용만을 고려해 최적의 전원믹스를 계산해보면 현재의 LNG발전 비중이 다소 높은 게 사실”이라며 덧붙였다.

LNG발전 미래가치 심사숙고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원믹스에 포함시키면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비용이 늘어날수록 LNG발전의 미래가치는 점점 높아졌다.

김 교수는 “최근 온실가스 감축을 비롯한 발전설비의 기계적 유연성 증대와 셰일가스 개발 등으로 국제 가스수급이 안정화 추세에 있다”며 “이 같은 국제적 여건을 고려할 때 LNG발전은 단순한 첨두부하발전을 넘어 2020~2040년 기간 중 Bridge Fuel(가교 연료)로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LNG발전의 미래가치를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올해부터 시행되고 있는 배출권거래제도 아래에서 기업들은 1단계인 2017년까지는 정부로부터 탄소배출권을 할당받을 때 정부에 돈을 내지 않아도 되지만, 2단계(2018~2020년)와 3단계(2021년 이후)로 접어들면 각각 3%와 10%까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며 “발전부문 기업 입장에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LNG발전의 환경적 가치를 무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온실가스 감축, 전원믹스 변화가 해법

김욱 교수는 전력시장가격(SMP)을 결정하는 LNG발전기의 수익성 악화가 기업들의 투지유치를 저해하고 있어 경제적인 전원믹스 실현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김 교수는 “최근 전력수요 증가가 둔화되는 동시에 기저발전의 설비용량이 증가하고 있어 LNG발전은 이용률 급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로 인해 발전사업자들은 신규 LNG발전 건설보다 석탄화력발전 건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 같은 발전설비 건설 쏠림현상이 최적의 전원계획 수립과는 거리가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발전부문은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예상치(BAU) 대비 26.7%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전력수요 감소, 전원믹스 변화, 신재생에너지 확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개발 등을 통해 감축목표를 이행할 수 있지만 과연 이 같은 수단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 26.7%를 달성하는 게 가능할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결국 전원믹스와 전력시장 제도의 변화만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