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회사설립 1년이 지난 신생기업이 풍력개발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마치고 최근 상업운전에 들어가 이목을 끌고 있다.
태성에너지는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인근에 총 사업비 95억원을 투입해 3MW 규모의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고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풍력설비 2기가 가동되는 소규모 풍력단지라 가볍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풍력개발사업은 규모에 상관없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인허가, 민원, 시공 등의 요소들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이번 성과는 주목할 만하다.
태성에너지는 이 지역의 좋은 바람을 활용해 앞으로 2단계 풍력단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전남 영암 인근에 20MW 규모로 풍력단지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도 준비 중이다.
해발 1,200m가 넘는 곳에 위치한 하장풍력단지 현장에서 이번 사업을 총괄한 손상식 태성에너지 전무를 만나봤다.
하장2·영암 등 연이어 개발 준비
해발 1,270m 위치… 국내 최고
“하장풍력단지는 현재 국내에 운영 중인 풍력발전단지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1호기는 해발 1,270m에 설치돼 있고 2호기는 그보다 70m 정도 낮은 1,200m에서 운전 중이다.
풍력단지가 워낙 높은 곳에 조성돼 개발 당시 진입도로 개설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무사히 공사를 마치고 현재 대부분의 도로 복구 작업을 마친 상태다. 이 또한 좋은 경험이 됐다.”
손상식 전무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기업에서 풍력개발 사업에 참여해야 우리나라 풍력산업이 건전한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신생기업의 경우 이 같은 능력을 가진 인력을 채용해 풍력사업을 키워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일부 디벨로퍼 때문에 발전사업허가 신청이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는 최근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손 전무는 “풍력단지 한 곳이 가동되기까지는 풍황자원 조사를 시작으로 사업성분석, 관련 인허가 취득, 민원해결, 건설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풍력을 단순히 계측기 한두 개 꽂아서 진행할 수 있는 사업으로 인식하면 오산이다. 단계별 작업들이 상호 연관성을 갖고 진행되기 때문에 전문성이 필요하고 그런 기업이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7~8년 후 투자비 회수 기대
하장풍력단지는 4,838m2 부지의 고랭지채소밭에 건설됐다. 그만큼 산림훼손이 거의 없어 사업진행 속도도 빨랐다. 지난 7월 삼척시로부터 개발행위허가를 취득한 후 9월 착공에 들어가 11월 중순 준공됐다.
사업비 절감을 위해 전기실과 사무실을 컨테이너 박스에 각각 마련한 점도 눈에 띈다. 사무실은 컨테이너하우스 형태고, 바로 옆에 옥외용 전기실이 별도로 있다. 1층 전기실, 2층 사무실로 짓는 일반적인 경우와 비교해 비용이 8분의 1 수준밖에 소요되지 않는다는 게 손상식 전무의 설명이다.
최근 풍력시스템 나셀 내 화재대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자동소화설비도 갖췄다. 불꽃감지기와 열감지기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고체에어로졸(4개)이 곧바로 작동한다.
손 전무는 “풍황이 우수해 7~8년 정도 가동하면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용률 27% 기준으로 연간 7,806MWh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4인 가구 기준 1,576세대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인 동시에 3,548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또 “최근 SMP와 REC 가격 하락으로 발전사업자들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다행히 하장풍력의 경우 SMP와 REC를 묶어서 남동발전과 장기계약을 맺은 상태라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가 부지 활용 국내 업체 키워야”
손상식 전무는 풍력업계에서 근무한지 올해로 14년째다. 그동안 다수의 풍력개발 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며 국내 풍력산업 활성화를 이끈 인물 중 한명으로 꼽힌다. 이런 그가 풍력개발 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시 여기는 사항은 주민 소통과 국산 풍력설비 적용이다.
손 전무는 “풍력사업 특성상 주민의 동의가 없으면 프로젝트 추진이 거의 불가능하다. 오랜 경험에 비춰볼 때 민원해결에는 정답이 없다”며 “주민과의 대화와 설득, 이해를 반복하다보면 어느새 사업이 마무리돼 있는 경우가 많다”고 주민과의 신뢰 쌓기를 강조했다.
이어 “대기업들이 풍력사업을 철수하고 부품업체들이 부도났다는 소식을 접할 때마다 씁쓸한 마음이 든다. 개인적으로 국내 풍력시스템의 효율과 성능은 해외 업체에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유지보수 측면에서는 오히려 강점이 많다”며 “트랙레코드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외면하는 것은 정당한 경쟁이라 할 수 없다. 정부도 말로만 풍력 활성화를 외치지 말고 국가 소유의 부지에 국산 제품을 적용하는 식의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전력전기 관련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원 (주)로맥스테크놀로지코리아 엔지니어링 매니저, “풍력시스템, 출력 성능향상으로 효율 극대화” (0) | 2016.01.12 |
---|---|
LG화학, AES사와 세계 최대 규모 배터리 공급계약 체결 (0) | 2016.01.06 |
포스코에너지-포스파워, 삼척지역 아동 겨울나기 지원 (0) | 2015.12.30 |
두산중공업, 남아프리카 2,400억원 규모 발전시장 첫발 (0) | 2015.12.30 |
한성더스트킹, 원천기술 바탕으로 브랜드 위상 제고 주력 (0) | 2015.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