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석탄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내 원전의 시작, 고리1호기 영구정지 지난 40년 간 국내 우리나라 최초 원자력발전소인 고리1호기가 2017년 6월 18일 24시를 기해 영구적으로 가동이 정지됐다. 고리1호기는 1971년에 착동돼 당시 정부예산 30%에 해당하는 규모인 1,561억원이 투입됐으며, 단일 프로젝트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추진됐다. 이후 1977년 6월 19일 최초 원자로임계에 성공했고, 1978년 4월부터 상업운전을 개시했다. 발전량은 587MW로 국내 총 발전설비 용량의 8%를 차지하면서 지난 40년간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기여했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이관섭)은 고리1호기는 운영허가 만료시점인 2007년에 10년간 계속운전 운영변경허가를 취득했으며, 2015년 6월 에너지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영구정지가 결정됐다. 한수원은 6월 19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 더보기 전력산업 백년대계 이끌 에너지정책 기대 새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로드맵이 점차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당시 내세웠던 에너지정책 공약들을 하나둘 챙기면서 국내 전력산업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됐다. 노후 석탄화력발전 일시 가동중지에 이어 원전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검토 착수 등 새 정부의 에너지정책 실행력은 예상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이다. 과거 공급 중심의 전력수급 정책에서 탈피해 기후변화·온실가스·미세먼지 등 환경 요소를 고려한 에너지정책을 추진하려는 새 정부의 의지에 필자도 충분히 공감한다. 시대가 놓인 환경에 따라 에너지정책 또한 분명 달라져야 할 것으로 본다. 다만 이 같은 에너지정책 기조가 국내 전력산업의 특수성과 국민적 공감대를 뒤로한 채 일부 에너지전문가 그룹의 방향성에 의지해 추진되는 것 같아 우려스러울 따름.. 더보기 환경·에너지 정책 이제 ‘어떻게’ 풀지 고민할 시점 ‘안전하고 건강한 대한민국’을 내세운 문재인 정부가 성공적인 환경·에너지정책을 펼치기 위해선 지금까지 쏟아낸 공약을 ‘어떻게’ 풀어갈지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그동안 ‘무엇을’ 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다면 지금부터 이 같은 공약이 미칠 사회적 영향과 이해관계를 면밀히 분석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환경연구소 주최로 5월 2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새 정부 환경·에너지정책의 방향과 과제’란 주제로 열린 제39회 시민환경포럼에서 패널로 참석한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탈원전·탈석탄 로드맵을 현실화하는 내용을 담은 에너지 대안 시나리오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순진 교수는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로드맵 수립을 공약한 만큼 이를 현..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