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전력연구원(원장 최인규)은 산림훼손 저감 및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탑건설공법인 '송전철탑 마이크로파일 기초공법'을 개발하고 실증시험을 완료했다.
국토의 70%가 산으로 둘러싸인 우리나라 환경은 송전철탑 건설공사에 따른 산림훼손과 이에 따른 산비탈면 붕괴 사고의 우려가 높다. 이로 인해 환경단체 및 지역민원이 잦은 것이 사실이다.
또 도심지역 공사 역시 발파 및 굴착에 따른 소음과 분진 등이 발생하는 등 생활환경에 대한 영향이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초공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었다.
전력연구원이 개발한 마이크로파일 기초공법은 지반천공 후 직경 300mm 이하의 소구경 고강도 강재를 삽입해 철탑기초로 사용하는 공법으로 소형장비 사용으로 시공성이 우수한 저진동, 저소음 공법이다.
지반조건에 관계없이 넓고 깊은 굴착이 필요했던 기존 기초공법의 단점을 개선했으며, 철탑기초를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 후 헬기로 이송해 설치하는 '프리캐스트캡 기술'을 세계최초로 개발해 시공성 향상은 물론 철탑기초의 균열방지 등 안정성을 확보했다.
마이크로파일 기초공법은 시공이 간편하고 주변지반 훼손이 거의 없다는 게 특징이다. 또 작업이 곤란한 협소공간 및 급경사지에도 적용성이 탁월하다.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철탑공사에 따른 산림훼손면적을 50% 감소할 수 있으며, 비탈면 붕괴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저진동·저소음 공법으로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또 공사기간을 70% 단축시키는 동시에 공사비 30~50%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력연구원은 충남 태안지역에서 개발된 건설공법을 적용한 실규모 현장실증에 성공함으로써 345kV 규모 송전선로 적용성을 확인했다.
또 변전소 구내의 345kV 대형철탑에 시범적용을 위한 설계를 완료했으며, 향후 신설되는 철탑공사에 우선 적용 후 765kV 송전선로에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송전철탑 건설기술의 개발과 고도화를 통해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동시에 기존 철탑의 이설과 노후철탑의 기초보강에도 적용해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력산업계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KDN·현대종합상사, 에너지ICT 및 스마트그리드 분야 해외사업협력 MOU체결 (0) | 2015.12.04 |
---|---|
한전, 가나 송변전 인력양성 사업 계약 체결 (0) | 2015.12.04 |
한전, 중소기업 해외 동반진출을 위한 사우디·이란 수출촉진회 개최 (0) | 2015.12.04 |
포스코에너지, 인천LNG복합발전소 친환경 사업장 인정받아 (0) | 2015.11.24 |
전기산업진흥회, 제3차 전기산업통일연구 협의회 개최 (0) | 201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