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나온 제품 및 솔루션

이튼 일렉트리컬, 고성능 저전압 모터제어 및 배전센터 선보여

전원 관리 전문 기업 이튼 일렉트리컬 코리아(대표 박평원)는 새로운 파워 엑스퍼트 CXH(Power Xpert CXH)를 출시했다고 9월 16일 밝혔다.

파워 엑스퍼트 CXH는 380~690V의 전압에서 6,300A까지의 부하를 위한 고성능 저전압 모터 제어 및 배전 센터다.

IEC 표준에 부합하는 파워 엑스퍼트 CXH 모터 제어 센터(MCC)는 개선된 안전성을 제공한다. 석유·가스·광산 등 극한의 산업 환경에서 더 길어진 가동 시간과 상면 공간을 작게 차지하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하고, 유지 보수와 관련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튼의 파워 엑스퍼트 CXH 시스템은 인력과 장비를 보호하는 동시에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된 첨단 모터 제어 및 보호 기술을 갖췄다. IEC·TR 61641에 규정된 요구사항보다 높은 수준으로 아크 플래시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는 아크 플래시 저감 기술은 운영 및 유지 보수 인력의 안전을 보장한다.

MCC의 완벽하게 분리된 모선(Busbar), 케이블 연결, 단자 장벽(Terminal Barrier)은 아크를 막거나 아크로부터 자유로운 구역을 형성해 아크 플래시를 방지하도록 설계됐다.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안전하게 각 지점을 연결하고 테스트하도록 개폐부가 닫힌 상태에서 랙 장착이 가능하다. 인입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는 이튼 고유의 아크 플래시 저감 유지 보수 시스템을 장착해, 유지 보수 시 유입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해당 기능은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에만 활성화되며,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과전류를 조정해 보호할 수 있다.

안전성은 가동 시간에 매우 중요한 요소지만, 특히 제어 및 전원 분배 장비의 신뢰성을 보장해준다. 파워 엑스퍼트 CXH MCC의 견고한 설계는 공정 가동 시간을 증대시키고 유지 보수를 줄일 수 있다. 핵심 특징은 수직 모선의 접촉 마모를 감소시키는 이튼의 특허받은 저저항 은도금 가위형 클램프(Scissor Clamp)다. 이러한 특별한 접점은 고기동 혹은 단락 전류 발생 시 수직 버스(Bus)와 결합하지 않도록 설계됐다.

파워 엑스퍼트 CXH의 제거 가능한 부품은 작동 중지나 전원 종료 없이 전면부에서 교체할 수 있다. 이는 생산을 중단하지 않고도 실행되는 시스템에서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드로어(Drawer)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 솔루션이 제공되고, 배선과 네트워크 케이블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서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

또 기계적 작동 시험을 1천 회 이상 거쳤으며 이는 IEC 표준 200회의 기준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MCC는 유연성을 높이는 디자인으로 상면 공간을 작게 차지한다. 사실상 유지 보수가 필요 없는 수직 모선을 갖추고, 스위치기어의 전면부에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 목적으로 필요한 10㎝의 공간만 확보한다면, 파워 엑스퍼트 CXH는 사용하지 않는 장비 후면을 최대한 벽에 밀착시켜 배치할 수 있다.

구역당 1㎡까지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공정이나 장비 등을 위한 더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포트폴리오는 상면 공간의 효율을 높이는 고밀도의 드로어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파워 엑스퍼트 CXH MCC는 성능 추이, 결함 분석, 고정밀 데이터 모니터링과 같은 고급 진단 프로그램을 갖추도록 설계된 파워 엑스퍼트 C445 모터 매니지먼트 릴레이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는 가동 정지 시간(Downtime)을 최소화하고, 작동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지 보수 일정에 우선순위 지정이 가능하다.

박평원 이튼 일렉트리컬 동북아시아 총괄 대표는 “모터 결함은 제품 가동 정지 시간, 많은 수리 비용, 시설 직원의 심각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보호하는 안정적인 모터 제어와 배전 솔루션은 믿을 수 있고 안전한 시스템의 핵심 요소다”며 “이튼은 가동 시간을 최대화하는 한편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전념하며, 파워 엑스퍼트 CXH를 안정적이고 고성능의 제어와 보호가 가능하도록 설계해왔다.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공정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