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자력산업계 소식

원자력연구원, 제4회 방사성폐기물 처분 Safety Case 워크숍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직무대행 백원필)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심층처분 안전성 신뢰도 제고를 위한 ‘제4회 방사성폐기물 처분 Safety Case 워크숍’을 10월 5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술문학관에서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을 비롯해 KAIST,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등 원자력 유관기관의 전문가와 조선비즈,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 에너지정의행동 등 언론·시민단체 대표가 참석해 국내·외 고준위폐기물 심층처분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처분 신뢰성 확보를 위한 과학계 및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첫번재 발제자로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가 ‘시민의 입장에서 바라본 고준위폐기물 처분에 대한 시각’을 발표하고, 두 번째로 조동건 한국원자력연구원 조동건 박사는 ‘신뢰도 제고를 위한 고준위폐기물 처분 안전성평가 연구현황’을 소개했다.

세 번째로는 한병섭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장이 ‘중저준위폐기물 처분 사례를 통한 고준위폐기물 처분 수용성 증진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윤종일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처분 안전성 신뢰도 증진을 위한 연구 방향’을, 김민수 조선비즈 기자는 ‘고준위폐기물 처분 신뢰도 확보를 위한 과학계 및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해 발표하고, 김창락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장을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이재근 경주YMCA 원자력아카데미 원장, 백민훈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장이 참여하는 패널토론의 순서로 열렸다.

원전 사용후핵연료로 대표되는 고준위폐기물은 고위험 방사선과 고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지하에 영구처분하기 위해선 금속용기에 밀봉한 후 다중방벽을 가진 지하 500m 이상의 심층처분시설에 보관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을 운영하는 국가가 없을 정도로 처분장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발생한 사용후핵연료를 각 원전의 임시저장시설에 보관 중이다. 문제는 각 원전별 임시저장시설이 이르면 내년부터(월성원전) 점차적으로 포화돼 2038년(신월성 원전)에는 완전 포화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와 관련 시민단체들은 현재 임시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 처분을 위한 처분장을 조속히 확보하고, 향후 사용후핵연료 발생을 근절하기 위한 원전 가동 중지를 촉구해왔다.

시민사회의 이 같은 목소리에 대해 원자력연구원은 이 날 다양한 고준위폐기물 Safety Case들을 소개하고,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한 고준위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한 안전성 입증 노력과 함께 향후 연구 추진방향을 밝혔다.

한병섭 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장의 고준위폐기물 처분 수용성 증진방안 발표 세션과 언론 및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한 패널토론 세션에서 제기된 중·저준위폐기물 처분사례에 대해 처분안전성 입증에 관한 로드맵 설명에 노력했다.

백민훈 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장은 “원자력안전방재연구소와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고준위폐기물의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처분 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구원 자체 연구 성과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검증된 안전성 연구 사례 소개에 중점을 뒀다”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전달된 언론·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연구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처분 연구 성과를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Safety Case’는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처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국제 연구성과 사례를 일컫는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경제협력개발기구 산하 원자력기구(OECD/NEA)의 회원국들이 제공하는 각종 방사성폐기물의 환경 유해성 연구(방사성물질이 생태계로 누출되는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피폭선량 및 위험도 평가) 결과를 수집하고, 이를 교차 검증하는 일종의 국제 연구 데이터베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