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력 발전산업

해상풍력 융복합화로 연관 산업 활성화 이끈다

정부의 해상풍력 확대 정책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 가운데 조선해양을 비롯한 기계·금속·배후항만 등 연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6월 26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해상풍력 산업화전략 포럼’에 발제로 나선 성진기 에너지기술평가원 해상풍력팀장은 정부가 목표한 12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하기 위해선 해상풍력 산업화를 위한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진기 팀장은 “정부는 주민수용성과 사업경제성 확보로 해상풍력 시장을 만들어가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장은 그냥 늘어나는 게 아니라 지역상생을 비롯한 지역산업 융합·민간투자·전력계통·연구개발·계획입지 등 다양한 요소들이 선순환 고리를 형성할 때 극대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현재 초기단계인 국내 해상풍력산업이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을 통해 활성화를 이어가면 조선해양은 물론 철강·플랜트·건설 등 연관 산업의 성장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는 결국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해상풍력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진기 팀장에 따르면 4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 개발 시 조선해양업계는 약 5,000억원 상당의 하부구조물 수주가 가능하다. 정부의 해상풍력 목표인 12GW가 달성될 경우 약 15조원에 달하는 하부구조물 물량이 나오는 셈이다.

해상풍력 개발의 경제성과 직결되는 지원항만은 풍력터빈·부품·설치·유지보수 등 클러스터 형태로 조성돼야 하기 때문에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게 성진기 팀장의 설명이다.

조선해양·기계·지원항만 등 성장 잠재력 충분
성진기 에기평 팀장 “시장 선순환 구축해야”

새만금풍력사업, 해상풍력 REC 못 받을 수도
 성진기 팀장은 해상풍력 개발에 필요한 공간적·시간적·기술적 요소들을 고려해 2030년까지 총 3단계에 걸친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제안했다.

1단계는 2022년까지 5km 내외 근해에 5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건설해 초기 시장환경을 만드는 시기다. 이후 5km 이상 먼 바다로 나가 3GW 규모의 해상풍력을 대량으로 개발하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수심제약이 없는 부유식 개발로 10GW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성진기 팀장은 1단계에서 추진 가능한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22개소 정도로 분석했다. 설비용량만 4.8GW에 달한다. ▲전남신안해상풍력(300MW) ▲전남해상풍력(96MW)을 비롯해 ▲서남해 시범단계(400MW) ▲한림해상풍력(100MW) ▲대정해상풍력(100MW) ▲표선세화해상풍력(135MW) 등이다.

여기에는 정부 R&D로 추진되는 ‘100MW 이상 해상풍력 실증단지 설계’ 과제인 ▲군산해상풍력(110MW) ▲욕지해상풍력(350MW) 등도 포함됐다.

하지만 지난 2015년 12월 발전사업허가를 받고 현재 공유수면점사용 실시계획승인 절차를 밟고 있는 새만금해상풍력사업은 해당 자료에서 제외됐다.

이와 관련해 성진기 팀장은 “새만금풍력사업은 새만금방조제 내수면에 개발되는 프로젝트라 향후 해상풍력으로 인정받지 못 할 수도 있다”며 “해상풍력인지 아닌지 불분명한 사업을 정책설명 자료에 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REC 발급 운영규칙에 해상풍력은 해안선을 기준으로 해상에 위치하는 경우라고 정의돼 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자료에 따르면 새만금 지역의 해안선은 새만금 1호 방조제부터 4호 방조제까지 이어지는 제방을 따라 그어져있다. 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가장 높은 해수면)에 이르렀을 때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고 명시돼 있다.

한편 98MW 규모의 새만금풍력사업에는 한전 자회사인 한전KPS가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