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와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통한 국내 해상풍력 활성화 모델을 발굴하는 작업이 본격화된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올해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사업의 1차 신규지원 대상과제 중 하나로 ‘100MW 이상 해상풍력 실증단지 설계 및 해상풍력자원 평가기술개발’ 과제를 공고했다.
이번 과제는 해상풍력 개발사업의 원활한 진행에 필요한 인허가·주민수용성·경제성분석 등의 절차를 체계적으로 수립해 프로젝트 초기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상풍력사업 시작단계부터 이 같은 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프로젝트 성공률을 높이자는 취지다.
예정대로 연구개발이 완료되면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약 14GW 규모의 해상풍력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후보지 발굴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기영 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PD는 “이번 연구개발 과제는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초기 신뢰성을 높여 순조로운 사업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며 “해상풍력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사업자뿐만 아니라 이미 진행 중인 사업자도 컨소시엄에 참여함으로써 해당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지역TP·지방공기업 주관 아래 컨소시엄 구성
3~5개 컨소시엄 선정… 지자체 연구비 매칭 필수
2년간 진행되는 이번 연구개발 과제의 최종 목표는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을 위한 적합 후보지 발굴과 평가기술 개발이다. 후보지 풍황조사와 전파영향·기본설계·유지보수·인허가 등 사업 초기단계에서 반드시 살펴봐야 할 요소들은 물론 풍력단지 확대 방안, 지역 상생발전 등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발굴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3월 3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공모에는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해야 한다. 컨소시엄 구성에는 별도 제한이 없지만 주관기관을 지역TP(테크노파크)와 지방공기업으로 한정했다.
이는 공공주도 방식의 해상풍력 후보지 발굴로 프로젝트 추진을 원활히 이끌기 위한 것이다. 다만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을 감안해 지역TP와 지방공기업을 주관기관으로 지정했다.
현재 19개의 지역TP가 운영되고 있지만 지리적 여건과 특화분야 등을 고려하면 실제 참여 가능한 지역TP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곳의 지역TP에서 여러 프로젝트 신청이 가능해 해상풍력 개발 특성상 특정TP에 몰리는 결과도 나타날 수 있다.
지역주민의 동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와 지자체 연구비 매칭은 필수다. 지자체의 부담금 비율은 연차별 정부출연금의 20% 이상이고, 이 가운데 50% 이상을 현금으로 내야한다. 지자체의 연구비 매칭을 지원요건에 포함시킨 것은 책임감 있는 연구개발 참여를 위해서다.
에기평은 평가위원회 사전 서면검토와 사업계획서 평가 등을 거쳐 최종 3~5개 컨소시엄을 선정할 계획이다.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오는 7월부터 본격적인 과제수행에 들어간다. 연구개발 예산은 각 컨소시엄에 20~30억원 정도 지원될 예정이다.
권기영 풍력PD는 “현재 국내 해상풍력은 초기단계인 만큼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선 정부주도의 체계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며 “그동안 육상풍력 개발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반면교사 삼아 해상풍력의 연착륙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연구개발을 통해 발굴한 후보지는 컨소시엄 구성원 간 협의를 거쳐 합리적인 절차에 따라 개발될 것”이라며 “정부 R&D로 추진되는 과제인 만큼 후보지에 국산기자재를 적용함으로써 국내 제조업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계획입지제도와 별개 R&D 과제
에기평은 이번 과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 2월 21일 사업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설명회에는 지자체를 비롯한 지역TP, 지방공기업, 발전사업자 등의 관계자가 참석해 해상풍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이번 연구과제의 주요 내용이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계획입지제도와 방향성을 같이하고 있어 해상풍력사업을 준비 중이거나 추진하고 있는 사업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현재 계획입지제도와 관련한 세부 내용이 발표되지 않아 이번 과제에서 도출된 방안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권기영 풍력PD는 “이번 연구과제는 최적의 해상풍력 후보지를 찾아 단계별 분석·평가·검증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디딤돌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향후 계획입지제도 수립 과정에서 이번 과제를 일부 참고할 순 있지만 원칙적으로 별개 R&D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랜 시간 풍력분야에 몸담았던 한 사람으로서 사업자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있다”며 “다만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들어가기도 전에 가정을 전제로 각종 사안을 꺼내드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산업계 인사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영훈 군산대 풍력기술연구센터장, “고성능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및 전문인력 배출에 집중할 것” (0) | 2018.04.18 |
---|---|
위진 GS E&R 풍력사업부문 상무, “풍력 바라보는 인식 달라져야… 함께 가야 멀리 간다” (0) | 2018.04.18 |
이종호 한수원 기술본부장, “원자력은 기술의 에너지… 안전은 기본” (0) | 2018.03.21 |
이건행 한전 빅데이터센터장, “토탈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 될 것” (0) | 2018.02.26 |
이흥재 대한전기학회장, “전기분야 핵심적인 ‘아이디어·요소기술’ 공급하는 산실 될 것” (0) | 2018.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