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서병조)이 KT와 함께 ‘빅데이터 기반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를 구축했다.
과기정통부는 11월 6일 이같이 밝혔다. 빅데이터 기반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는 2017년 빅데이터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마련됐다.
현재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97개 시·군에 설치된 323개 측정소에서 측정된다. 1시간 간격으로 한국환경공단의 에어코리아(www.airkorea.or.kr)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다만 측정장비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장비 수가 많지 않고 가깝게는 수km, 멀게는 수십km 떨어진 광역 공기질을 표현하기에 개인 체감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번에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국민 체감형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는 올해 말 제주도, 창원시, 광명시에 시범 적용한다.
해당 지역의 기존 측정소 15곳 외에 통신사 기지국 등에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 간격으로 촘촘히 설치한 115개의 사물인터넷 기반 소형 공기질측정기 정보를 활용해 음영지역 없는 실시간(1분 간격) 미세먼지 관측이 가능하게 됐다.
본 시범사업에서 사물인터넷 기반 소형 공기질측정기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근거리 지역 간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인근의 미세먼지 농도가 타 지역 대비 높은 경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수집된 공기질 데이터는 ▲통화량 기반의 유동인구 정보(성별, 연령, 시간대 등) ▲날씨데이터 ▲질병정보 등과 결합돼 다양한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 제공에 활용된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올해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지차체·KT 등 민관과 협력해 미세먼지 대응서비스 제공지역 전국 확대를 지원한다. 또한 소형 공기질측정기 데이터를 정부, 지자체 등과 공유해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KT는 우선 내년 1분기까지 서울 및 6개 광역시 주요 거점 1,500곳에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최영해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빅데이터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대기·환경 분야까지 빅데이터 활용범위를 넓혀 미세먼지 대응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국민들이 미세먼지로 인한 걱정과 불편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부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광지역, 태양광 산업으로 석탄 대체 수익 창출한다 (0) | 2018.02.09 |
---|---|
세부방안 뒤로 미룬 ‘재생에너지 3020’ (0) | 2018.01.24 |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11월 중 발표 (0) | 2017.12.01 |
환경부 산하 환경산업기술원, 고성능·저비용 집진기술 개발 (0) | 2017.11.27 |
원전수출 위해 민간 합동으로 전방위적 수주활동 전개 (0) | 2017.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