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한편 전기자동차가 100만대로 늘어난다. 정부가 이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에너지신산업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월 23일 세종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신산업 토론회’를 개최하고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을 수립·발표했다.
현재 추진 중인 에너지신산업 8대 과제가 단기적인 성과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날 확산전략은 글로벌시장 선점에 필요한 내용을 담았다. 에너지신산업 활성화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를 표시했다는 점에서 전력산업계는 전반적으로 환영하는 입장이다.
산업부는 2030년 에너지신산업 중점 전략으로 ▲에너지 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의 4대 과제를 꼽았다. 전력, 수송, 산업 등 사회 전분야에 걸쳐 에너지신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100조원의 신시장 창출과 50만명 고용, 온실가스 5,500만톤 감축을 목표하고 있다.
산업부가 밝힌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의 4대 키워드를 살펴봤다.
E-프로슈머·전기차 등 4대 분야 중점 추진
에너지 프로슈머 전력시장 개설
개인 또는 빌딩 등에서 직접 생산한 소규모 전력이나 남는 전력을 누구나 팔 수 있는 ‘에너지 프로슈머 전력시장(분산자원 중개시장)’이 개설된다.
소규모 분산자원만 모아놓은 일종의 집합시장인 분산자원 중개시장은 각각의 소규모 분산자원을 모집해 MW 규모로 만들어 전력시장에 내다 파는 개념이다.
산업부는 다양한 분산자원의 확대와 전력시장 참여 촉진, 전력계통에 대한 영향 최소화, 중개사업 신설 등으로 에너지신산업 활성화가 자연스럽게 유도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국내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이 시범사업 수준에 머물러 있는 이유를 협소한 시장 규모와 연관 생태계 미성숙 때문이라는 판단 아래 전국 단위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자립섬 확대, 신축건물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친환경에너지타운 100개소 확산, 수요자원시장 확대 등 2030년까지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을 전국으로 확대한다. 이렇게 되면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이 우리나라 총 발전량의 12.8% 규모를 담당하게 된다.
저탄소 발전설비 확대
신재생에너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기존 전력시스템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기로 했다. 이는 친환경 발전설비 확대에도 불구하고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서는 일정 규모의 화력발전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민간 주도로 추진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대여 사업을 2030년까지 총 40만 가구로 확대하고, 지역별 계통 설비도 단계적으로 확충해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대응할 방침이다.
또 2030년까지 초초임계압발전소(USC)을 전체 40% 이상까지 확대 적용하는 한편 초고압직류송전시스템(HVDC)을 국내 고압선로에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셰일가스 개발로 LNG발전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북미 시장과 중남미 시장을 타깃으로 고효율 가스터빈 개발·실증을 통해 수출 산업화도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전기차 100만대 보급
산업부는 현재 5,000대에도 못 미치는 전기차를 2030년까지 100만대 이상 보급키로 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100% 전기차만 달리는 지역으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전기차 37만대, 급속충전기 4,364기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료비 절감 효과가 높은 대중교통,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우선 보급한 후 민간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2020년까지 충전 걱정 없는 전기차 이용 환경을 만든다. 1회 충전거리를 기존 대비 2.5배 끌어올리는 동시에 민간 유료충전서비스 사업을 활성화시켜 전국 단위 충전소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국민적 파급효과가 높은 시내버스(3만3,000대)를 전기차로 교체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친환경 공정산업 확산
산업부는 산업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친환경 공정산업을 확대한다.
에너지 효율화를 높이는 스마트 공장을 2030년까지 국내 제조업체의 약 65% 수준인 총 4만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사업을 발굴하고, 중소기업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스마트 공장 모델을 확산할 방침이다.
또 버려지는 열이나 냉기를 사용하는 신산업을 창출해 2030년까지 2,900만Gcal/년 규모(발전소 9기 해당)의 에너지를 확보키로 했다.
특히 이런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열을 거래할 수 있는 제도를 신설하고, 국가 단위의 열네트워크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추진 중인 수도권 그린히트 프로젝트로 멍석은 깔린 셈이다.
내년 에너지신산업에 1조2,890억 예산 편성
정부는 이 같은 에너지신산업 확산을 위해 2016년 예산안을 ▲R&D 4,400억원 ▲융자 6,500억원 ▲보급 1,950억원 등 총 1조2,890억원 규모로 편성(정부안 기준)했다.
기업에서도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향후 5년간 ▲에너지 프로슈머 4조3,026억원 ▲저탄소 발전 2조1,211억원 ▲전기자동차 12조825억원 ▲친환경 공정 8,433억원 등 총 19조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범정부 기구인 ‘에너지위원회’를 통해 과제별 추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육성 특별법’ 제정을 통해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부처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전력분야 R&D에 1조1,800억원 투자 (0) | 2016.01.21 |
---|---|
신기후체제 협상 타결… ‘파리 협정’ 채택 (0) | 2016.01.06 |
서울시, 16개 대학과 그린캠퍼스 '가상캠퍼스' 준공 (0) | 2015.12.15 |
대·중소기업 협력해 뉴노멀 시대 적극 대응 절실 (0) | 2015.11.24 |
구역전기사업, 분산형 전원 대표선수로 육성된다 (0) | 201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