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사장 조환익)은 지난해 12월 서안성변전소에 구축된 FR용 ESS(Frequency Regulation Energy Storage System)가 올해 7월 상용운전 이후, 5건의 대형 발전기 탈락으로 인한 주파수 변동이 발생 시에 100% 정상동작하는 등 전력계통 안정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지난 10월 추가로 상용운전에 들어간 신용인변전소에 설치된 ESS도 두 차례의 당진화력 9호기 고장 발생시 정격용량을 방전하는 등 정상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서안성변전소 ESS와 더불어 FR 성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FR(주파수조정)이란 발전량과 전기사용량이 같을 때 유지되는 우리나라 전력계통의 교류 표준 주파수 60Hz가 갑작스런 발전기 고장 등으로 전력수급 불균형이 발생돼 정상범위 이상으로 변동 될 때, 빠르게 전력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수급균형을 맞춰 표준 주파수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전은 현재 상용운전 중인 FR용 ESS의 안정적 운전의 척도를 가늠하기 위해 가동률을 분석해 본 결과, 상용운전 최초 100일 동안 ESS 주기기의 정지시간이 0.84일로써 99% 이상의 높은 가동률을 유지했으며, 일일 평균 충방전 횟수는 충전이 400회, 방전이 약 300회 정도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했다.
한편 현재 구축된 총 52MW의 ESS(서안성변전소 28MW, 신용인변전소 24MW) 상업운전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월 평균 약 8억3,000만 원의 전력구입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송변전 설비 추가 건설 회피 등의 간접적인 편익을 고려하면 경제적 효과는 더욱 클 것이라는 예측이다.
한전은 이처럼 전력계통 주파수조정 성능이 실제로 입증된 FR용 ESS를 현재 200MW 규모로 올해 말까지 전국 8개 변전소에 추가 설치 중이며, 이후 약 6개월간의 시운전을 거쳐 상업운전을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전은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124MW씩 추가로 ESS를 설치해 총 500MW의 ESS를 FR용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구축이 완료됐을 경우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는 전력구입비 절감 등 매년 3,200억 원 정도의 비용편익이 생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력산업계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2015 산업혁신운동 협약식 개최 (0) | 2015.12.14 |
---|---|
한전, 모잠비크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사업 준공 (0) | 2015.12.14 |
한전, 본사이전 1년 총 77개사 유치 "에너지허브 초석 다지다" (0) | 2015.12.14 |
한전, '2015년 기업환경평가 전기공급' 분야 2년 연속 세계 1위 (0) | 2015.12.04 |
한전 전력연구원, 2015년 ICT분야 기술교류회 개최 (0) | 2015.12.04 |